본문 바로가기
생활 후기

알뜰폰 사용 후기, 장단점 비교

by JIN__NY 2023. 2. 19.
728x90

(100% 내돈내산 후기) 


저는 KT의 5G 부분 무제한 요금제를 매달 4만원 정도 사용을 했었는데요.
최근에 알뜰폰 요금제로 갈아타면서, 매달 6,600원만 내게 되었습니다!

그 동안 ‘알뜰폰’이 뭔지 잘 몰랐고, 요금제가 아니라 오래된 기기로 바꿔서 사용하는 건 줄 알았습니다.
그러다 기기값을 포함해서 매달 십만원씩 나오는 통신요금제가 너무 부담스러워서 알뜰폰으로 바꾸게되었습니다.

 

⭐️⭐️알뜰폰 요금제로 몇 달 사용해본 후기는 완전 추천입니다! (강추!!) ⭐️⭐️
그 동안 이걸 왜 안 썼는지 아쉬울 정도이고, 주변 지인, 가족들 모두에게 알뜰폰으로 바꾸라고 말하고 다니고 있습니다.


(1) 알뜰폰 요금제란?!


SKT,KT,LG U+ 의 네트워크를 빌려 이용자에게 자체 브랜드로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합니다.
(쉽게말해, 기존 통신 3사가 독점한 통신망 네트워크의 망만 빌려서 통신 서비스로 판매하는 걸 알뜰폰이라고 합니다.)

기존 통신 3사와 다르게, 길거리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통신사 가게도 없고 다양한 제휴 서비스가 없는 것이 특징입니다. 그 대신 아주 저렴합니다.

 

 

제 알뜰폰 요금제를 소개를 하자면,
매달 7G의 데이터 사용 가능(다 쓰면 약간 느린 속도의 LTE 무제한) + 전화.문자 무제한

가격은 6,600원입니다.

 

 

(2) 기존 통신사와 알뜰폰 장,단점 비교 

 

 



1. 기존 통신 3사 장점 :

- 제휴할인이나 가족결합, 이벤트가 있다.
- 통신사 가게를 쉽게 찾아볼 수 있고, 고객지원이 잘 구축되어 있다. (고객 센터 문의 등) 

 

2. 기존 통신 3사 단점 :

- 제휴할인이나 이벤트를 쓸 일이 생각보다 없음. 

(애초에 통신요금이 비싸서, 비싼만큼 할인 혜택 등이 있지만 할인 혜택을 꼬박꼬박 다 찾아서 쓰지 않는 이상 무조건 손해이다.) 

- 약정 기간이 있어서, 휴대폰을 통신사에서 바꾸면 약정기간을 채워야한다. (아니면 큰 금액을 지불해야함) 

- 요금제가 비싸다. 

 

 

1. 알뜰폰 장점 :

- 저렴하다 

- 약정 기간이나 위약금이 없어서, 언제든지 통신사를 갈아탈 수가 있다. 

 

2. 알뜰폰 단점 :

- 고객지원 구축이 기존 3사 대비 잘 되어있지 않다.

(하지만, 제가 몇 달 사용해본 결과, 조금 기다리면 고객 센터 연결도 바로 되고 아주 친절하게 알려주셔서 불편함은 전혀 없었습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KT 통신사는 다양한 제휴가 있고(베스킨 라빈스, GS25 할인 등), vip 회원이면 매달 영화도 1회 무료로 볼 수 있었습니다.
KT를 8년이 넘게 사용했지만 매달 1회 영화 꼬박꼬박 챙겨보지도 못했었고 ㅜㅜㅜ, 다양한 제휴가 있다고 해도 그렇게 큰 할인이 되지 않아서 알뜰폰 요금제를 값을 매달 내는 것이 훨씬 더 할인이라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통신사에 가면, 2년 혹은 3년 약정으로 새로운 휴대폰을 구매할 수 있는데요.

3년 약정으로 아이폰 12pro를 구매했던 저는 기기값으로 매달 5만원씩 통신 요금과 합쳐서 거의 10만원 정도 냈습니다. 그럼 3년 동안 통신비만 거의 360만원에 가까운 돈이 나가야 합니다. (기기값+ 비싼 통신요금)
여기에 위약금까지 있어서, 위약금을 물지 않고서는 휴대폰 구매 후 2년 동안 기기변경이 어려웠습니다.

 

반면, 지금 쓰는 아이폰 12pro 값(180만원/ 당시 출시 가격) + 6,600원 통신 요금 36개월 동안 사용 = 2,037,000원 
계산을 해보면, 휴대폰 기기는 최대하게 저렴하게 인터넷에서 일시불로 계산을 하고 알뜰폰 요금제를 사용하는게 훨~씬 절약이 됩니다. 


그동안 왜 2년,3년 할부로 휴대폰을 구매했는지,,,대형 통신사에 완전히 호구 잡혔던 것 같습니다 ㅜㅜ


저희 가족은 5인 가족 모두 KT를 10년 가까이 사용을 했었고, 가족 결합 혜택으로 집 인터넷 요금이 무료입니다. 

그런데 5인 가족 통신 요금을 모두 합치면 거의 40만원 정도이고, 계산해 봤을 때 (온 가족이 알뜰폰요금제를 사용 + 인터넷 요금 따로 내기) 가 더 저렴합니다...

 

 

 

(3) 알뜰폰 요금제 쓰기 전에 했던 걱정들 

 

 

1. 데이터 속도가 느리지 않을까? 

어차피 대형 통신사의 망과 같은 망을 사용하는 것이니 알뜰폰이라고 해서 속도가 느리지 않습니다. 

 

참고로 저는 데이터를 아주 많이 쓰는 사람입니다. 출퇴근 할때 유튜브를 보면, 7G는 일주일이면 다 써버리죠.

제가 사용하는 요금제는 7G이고 다 쓰면 1Mbps 속도로 무제한인데, 조금 기다리면 1Mbps 속도로도 유튜브 시청이 가능하고, 웹서핑, 카카오톡 지도 사용 등 엄청 느리다는 생각은 들지 않았습니다. 

 

 

2. 고객센터 연결이 안되면 어쩌지?

솔직히 KT 사용할 때도, 고객 센터 연결이 안돼서 한참 기다렸습니다. 아예 연결을 못하는 경우도 종종 있었죠.

제가 사용하는 알뜰폰 통신사 고객센터도 KT랑 비슷한 시간을 한참 기다리면 연결이 됩니다. 한 2~3분 기다렸습니다. 알뜰폰 통신사지만 카톡문의도 있고, 게시판 문의도 있습니다. 

 

 

3. 인터넷에서 본인인증할 때, 알뜰폰이라서 못하면 어쩌지? 

 

본인 인증 창에는 알뜰폰 선택하는 부분이 늘 있으니, 이 부분도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4) 알뜰폰 최고 좋은 점 

 

요금제를 맘대로 갈아타는 게 가능합니다.

지금 알뜰폰 요금제 비교 사이트인 알뜰폰 허브를 살펴보고 왔는데, 제가 사용하는 6,600원 보다 더 저렴한 요금제가 나왔네요! 같은 조건인데 더 저렴해서 저는 그걸로 바꾸러 갑니다!

 

 

 

알뜰폰 비교 추천 사이트👇

https://www.mvnohub.kr/user/index.do

 

알뜰폰 Hub

알뜰폰 Hub

www.mvnohub.kr

 

 

[👇알뜰폰으로 바꾸는 법👇]  

 

https://mee-mory.tistory.com/40

 

알뜰폰 개통하는 방법

저는 대형통신사의 아주 충실한 개…가 아니고 고객으로 매달 십만 원 정도의 요금을 지불했었는데요. (기기값 + 비싼 요금제) 얼마 전 알뜰폰 요금제로 갈아타면서, 매달 요금제는 6,600원만 내

mee-mory.tistory.com